[아름다운 우리말] 무엇을 배우고 있나
2023년이 지났습니다. 이제 2024년입니다. 갑진년이라는 말도 한참 동안 들릴 겁니다. 용띠라는 말도 들리겠죠. 한동안은 올해와 작년이 헷갈릴 겁니다. 연도도 헷갈리고 나이도 헷갈릴 겁니다. 그렇게 한 해가 가고 옵니다. 저는 새해를 시작하면서 지난해를 돌아보았습니다. 즐겁게 공부하고, 배운 시간이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런 의미에서 학자(學者)라는 말은 참 좋습니다. 학자는 늘 배우는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아무리 봐도 저는 교수(敎授)라는 말보다는 학자라는 말이 좋습니다. 늘 배우는 사람이고 싶습니다. 작년을 돌아보니 여러 가지 일이 있었습니다만, 매주 공부하는 모임은 큰 즐거움이었습니다. 매주 수요일에는 수요언어문화교육 연구모임을 온라인으로 몇 년째 하고 있습니다. 7개국(미얀마, 태국, 베트남, 중국, 일본, 미국, 한국)에서 참여하는 수요 모임은 이제 연구의 모습이 자리잡히는 듯합니다. 올해 수요 모임 선생들은 20편의 논문을 등재학술지에 게재하였습니다. 열심히 공부한 우리의 생각을 세상에 나누는 것은 기쁨입니다. 또한 두 권의 저서와 두 권의 번역서도 출간하였습니다. 저서는 청소년 우수도서와 세종도서에 각각 선정되었습니다. 앞으로 수요 모임에서 우리가 다루고 있는 ‘언어교육과 치유’의 문제, ‘상호문화교육과 시민교육’의 문제, ‘북한의 조선어교육’ 문제에 대한 연구가 더 깊어질 겁니다. 저는 우리 모임이 언어교육의 미래를 이끌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AI 시대에 언어교육은 치유여야 합니다. 한국어를 배우고 가르치는 것이 기쁘고, 마음에 힐링이 되기 바랍니다. 또한 문화교육은 서로를 이해하고, 그것을 통해 자신이 성장하는 단계로 나아가야 합니다. 그것을 시민교육이라고 하였습니다. 북한의 조선어교육은 장막 속에 가려진 느낌입니다. 하지만 서로의 모습을 더 잘 알고 소통해야 가까워질 수 있을 겁니다. 우리가 북한에서 하는 외국인을 위한 조선어교육을 연구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올해는 더 공부가 재미있기 바라고, 더 즐거운 성과가 있기 바랍니다. 저는 월요일에는 옛글 읽기 모임을, 금요일에는 한문공부를 하였습니다. 월요일에 읽은 부처님의 이야기인 ‘월인석보’와 최초의 한글 신약성경 ‘예수셩교젼서’는 옛말뿐 아니라 불교와 기독교 공부도 되었습니다. 금요일에 박재양 선생님과 둘이서 공부하는 한문공부에서는‘갑골문’, ‘천자문’, ‘맹자’를 일본책으로 공부했습니다. 한자의 기원과 한문 공부, 고전 공부를 통해서 사람을 배웁니다. 사실 언어 공부는 사람 공부이고 그대로 인간학입니다. 일본어와 한문 공부가 깊어지기 바라고, 저도 깊고 넓어지기 바랍니다. 배울수록 그릇이 커지고 남을 더 받아들이게 됩니다. 매주 일요일 오후에 세 시간 동안 고경자 선생님께 배우는 국악은 ‘국악치유 연구’와 이어집니다. 아내와 둘이 배우고 있는데, 벌써 5년이 지났습니다. 민요, 사물놀이, 춤을 배우면서 한국문화와 치유를 느낍니다. 월 1회 요양원에 국악치유 공연을 갑니다. 공연은 하는 사람, 보는 사람, 듣는 사람이 모두 치유되는 시간입니다. ‘판굿, 아리랑, 회심곡, 사랑가’ 등과 치유에 대한 논문을 고경자 선생님과 썼습니다. 저는 논문도 치유의 길이라는 생각을 합니다. 제가 좋아하는 류시화 선생의 글이 있습니다. ‘오늘은 뭘 배웠나?’라는 질문이 담긴 글입니다. 스스로에게도 묻습니다. 오늘은 무엇을 배우고 깨달았는지. 날마다 배울 일이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그 배우는 것이 즐거웠으면 좋겠습니다. 이왕이면 함께 배우면 더 좋고, 이왕이면 배운 것을 나누면 더 좋겠습니다. 2024년도 기쁘게 배우고, 공부하겠습니다. 그리고 즐겁게 나누겠습니다. 여러분은 무엇을 배우고 계신가요? 오늘은 무엇을 배웠나요? 즐겁게 배우는 한 해가 되기 바랍니다. 조현용 / 경희대학교 교수아름다운 우리말 수요언어문화교육 연구모임 국악치유 연구 한문 공부